주님과 함께 말씀과 함께

온양온천교회 예수님이 답이다 94

그리스도인의 자유

씀의 현장 =갈라디아서 5장 13절- 15절(24 /10/14/월) 신앙 공동체 내에서의 자유와 그 자유가 어떻게 행동으로 이어져야 하는지를 심오하게 탐구하는 구절이다. 바울은 우리가 그리스도 안에서 자유롭게 되었음을 선언하며, 그러나 그 자유가 결코 자기중심적인 방종으로 변질되어서는 안 된다고 경고한다. "너희가 자유를 위하여 부르심을 입었으니, 그러나 그 자유로 육체의 기회를 삼지 말고 오히려 사랑으로 서로 종노릇 하라"는 말씀은 단순히 자유를 강조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이 자유는 도리어 공동체 내에서의 상호 의존성과 사랑의 실천으로 이어져야 함을 명확히 하고 있다. 인간 본성의 나약함 속에서 우린 종종 이기적인 행동을 통해 자유를 오해하게 되지만, 바울은 그러한 경향에 대해 날카롭게 비판하며,..

하나님의 말씀 2024.10.14

그리스도인의 자유

말씀의 현장 = 갈라디아서 5장7절-12절(24/10/11/금) 사도 바울이 갈라디아 교인들에게 보내는 편지의 일부분으로, 그들이 과거에 알지 못했던 하나님을 알게 된 후의 변화를 다루고 있습니다. 바울은 이 구절에서 그들이 이전에는 우상에게 예배하던 이방인이었음을 상기시킨다. 그러나 이제는 하나님을 알게 되었고, 그를 통해 진정한 자유를 찾게 되었다고 강조한다. 이는 그들이 과거의 종교적 관습에서 벗어나 하나님과의 관계를 통해 새로운 삶을 시작하게 되었다는 의미한다. 바울은 이어서 갈라디아 교인들이 다시 예전의 약하고 무능한 원리로 돌아가려는 것을 걱정한다. 그는 그들이 날과 달, 계절과 해를 세는 것에 다시 얽매이는 모습을 비판하며, 이러한 행동이 그들의 신앙을 약화시키고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이는..

하나님의 말씀 2024.10.11

은혜를 은혜롭게~

말씀의 현장 = 갈라디아서 5장1절-6절 (24/10/10/목) 바울 사도가 그리스도인의 자유와 믿음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구절입니다. 1절에서는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자유롭게 하시기 위해 오셨다는 점을 강조한다. 여기서 "자유"는 단순히 법의 제약에서 벗어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죄와 죽음의 권세에서 해방된 새로운 삶을 의미한다. 따라서 우리는 그리스도의 자유를 지키고, 다시는 종의 멍에를 지지 말아야 한다고 경고한다. 2절에서 바울은 만약 우리가 율법에 의해 의롭게 되기를 원한다면, 그리스도에게서 떨어져 나가게 된다고 말한다. 이는 그리스도의 은혜를 배신하는 행위로, 우리가 믿음으로 구원을 받는 것이 아니라 율법의 행위에 의존하게 되는 상황을 경고한다. 3절에서는 율법을 지키려는 자가 모든 율법..

하나님의 말씀 2024.10.11

너희는.이삭과 같이 약속의 자녀라

갈라디아서 4장 28절과 31절,(24/10/09/수) 이 본문은 두 가지 상징적인 어머니, 즉 하갈과 사라의 이야기로, 두 가지 다른 언약을 대조합니다. 28절에서 바울은 믿음에 의한 자녀들, 즉 약속의 자녀들을 강조한다. 이는 단순한 혈통이나 육체적 출생에 의존하지 않으며, 오히려 하나님의 은혜와 약속에 기초한 것이다. 우리들은 이 약속의 자녀로서 새로운 정체성을 부여받고, 이는 그들의 삶의 모든 측면에 영향을 미친다. 반면 31절에서는 이러한 신자들이 하갈의 자녀가 아닌, 사라의 자녀임을 선언하며, 하나님의 자녀로서의 권리를 강조한다. 이는 단순히 과거의 유산을 넘어서, 새로운 삶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바울은 이로써 신자들에게 자유와 회복의 메시지를 전하며, 그들이 하나님의 자녀로서 누릴 수 있는 ..

하나님의 말씀 2024.10.09

하갈과 사라

말씀의 현장 = 갈라디아서 4장21절-27절(24/10/08/화) 바울이 두 가지 방식, 즉 약속의 자녀와 율법의 자녀 사이의 대조를 통해 신자의 정체성을 심오하게 탐구하는 구절이다. 여기서 바울은 이사야서의 예언을 인용하며, 이스라엘의 역사적 배경과 신앙의 본질을 연결짓는다. 먼저, 그는 두 여성, 하갈과 사라를 통해 각각 율법과 약속을 상징적으로 묘사한다. 하갈은 이스라엘의 종교적 법률 체계의 상징으로, 그로부터 태어난 자녀는 육신의 힘에 의한 구속의 상징이 된다. 반면, 사라는 하나님의 약속의 성취를 나타내며, 그녀의 자녀는 자유의 상징으로, 이는 성령에 의해 이루어진 구원을 나타낸다. 바울은 이 두 여인의 대립을 통해 신자들에게 율법의 굴레에서 벗어나 하나님의 은혜 안에서 자유롭게 살아가야 함을 ..

하나님의 말씀 2024.10.08

바울이 갈라디아 교회를 염려하다

말씀의 현장 = 갈라디아서 4장 12절에서 20절(24/10/07/월) 바울의 애정 어린 권면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그는 갈라디아 교인들에게 자신의 과거를 회상하며, 그들이 처음 그를 받아들였던 때를 떠올립니다. 그들은 바울의 약함과 고난을 통해 그를 사랑으로 맞이했으며, 그때의 따뜻한 마음을 기억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바울은 이제 그들의 태도 변화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명한다. 그는 그들이 진리를 잃어버리고, 이방 신들에게 돌아서는 것에 대해 안타까움을 느낀다. 이러한 변화를 통해 그들의 신앙의 본질이 훼손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그들에게 다시금 복음의 진리를 상기시킨다. 그의 서신은 단순한 경고가 아닌, 깊은 감정이 담긴 외침이다. 바울은 자신이 마치 어머니처럼 그들을 위해 고통받고 있으며, ..

하나님의 말씀 2024.10.07

바울이 갈라디아 교회를 염려하다

갈라디아서 4장8절-11절(24/10/04/금) 사도 바울이 갈라디아 교인들에게 보내는 편지의 일부분으로, 그들이 과거에 알지 못했던 하나님을 알게 된 후의 변화를 다루고 있습니다. 바울은 이 구절에서 그들이 이전에는 우상에게 예배하던 이방인이었음을 상기시킨다. 그러나 이제는 하나님을 알게 되었고, 그를 통해 진정한 자유를 찾게 되었다고 강조한다. 이는 그들이 과거의 종교적 관습에서 벗어나 하나님과의 관계를 통해 새로운 삶을 시작하게 되었다는 의미한다. 바울은 이어서 갈라디아 교인들이 다시 예전의 약하고 무능한 원리로 돌아가려는 것을 걱정한다. 그는 그들이 날과 달, 계절과 해를 세는 것에 다시 얽매이는 모습을 비판하며, 이러한 행동이 그들의 신앙을 약화시키고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이는 그들이 진정으로..

하나님의 말씀 2024.10.04

"종이 아니라 아들이다"

갈라디아서 4장1절-7절(24/10/03/목) 말씀의 현장 = 유업을 이을 자는 모든 것의 주인이나 어렸을 때에는 종과 같이 특권을 누릴 수 없다. 그리고 아버지가 정해 놓은 때까지 후견인과 청지기의 간섭을 받게 됩니다. 이와 같이 우리도 어렸을 때 영적 무리 가운데 태어난 피조물을 섬기는 원시 종교와 초등 학문에 얽매어 죄의 종살이를 하며 살았다. 때가 차매 하나님께서는 영적 무리와 저주 아래서 우리를 구원하시려고 가장 적절한 때 독생자 예수 그리스도를 보내 주셨다. 이제 우리는 더 이상 노예나 종이 아니다. 아들이 되었다. 뿐만 아니라 하나님은 성령님을 우리 마음 가운데 보내셔서 하나님을 아바 아버지라 자녀된 확신을 갖게 해 주셨고, 아들이기 때문에 하나님의 나라를 상속받게 해주셨다. 나의 반응 = ..

하나님의 말씀 2024.10.03

믿음으로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가 됨

말씀의 현장 =갈라디아서 3장 26절부터 29절(24/10/02.수) 갈라디아서 3장 26절부터 29절은 바울 사도가 그리스도 안에서 신자들의 정체성과 일치를 강조하는 구절입니다. 이 구절은 그리스도 안에서 모든 믿는 자들이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는 중요한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26절에서는 "너희는 모두 믿음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아들들이라"고 말한다. 이는 믿음을 통해 하나님과의 관계가 확립되며, 신자들이 하나님의 자녀가 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여기서 '모두'라는 단어는 성별, 인종, 사회적 지위와 관계없이 모든 사람에게 해당된다는 점을 강조한다. 27절은 "너희가 그리스도와 합하기 위해 세례를 받았으면 그리스도로 옷 입었느니라"고 설명한다. 세례는 단순히 외적인 의식이 아니라, 신자들이 그리스도와의..

하나님의 말씀 2024.10.02

율법은,구원하지 못함

말씀의 현장 =갈라디아서 3장 21절에서 25절(24/10/01.화) 갈라디아서 3장 21절에서 25절은 신앙의 본질과 율법의 역할에 대한 깊은 통찰을 제공합니다. 이 구절에서 바울은 율법이 생명을 주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죄를 드러내는 도구임을 강조합니다. 우리가 율법을 통해 의로움을 얻으려 할 때, 그것은 마치 암흑 속에서 길을 찾기 위해 눈을 감은 채 헤매는 것과 같다. 율법은 인간의 연약함을 드러내고, 궁극적으로는 그리스도에게로 인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율법의 목적은 단순히 규칙을 제정하는 것이 아니라, 진정한 자유와 구원의 길로 나아가게 하는 것이다. 이제 우리는 그리스도를 통해 의롭게 되며, 더 이상 율법 아래에 있지 않다. 마치 무거운 족쇄가 풀리고 새로운 삶이 시작되는 순간과도 ..

하나님의 말씀 2024.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