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님과 함께 말씀과 함께

온양온천교회 예수님이 답이다 94

율법과 약속

말씀의 현장 =갈라디아서 3장 15절에서20절,(24/09/30.월) 갈라디아서 3장 15절에서 20절까지의 구절은 사도 바울이 율법과 약속의 관계를 설명하는 중요한 부분입니다. 이 구절에서 바울은 인간의 계약을 예로 들어, 약속이 법으로 변경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15절에서는 계약의 예를 들며, 사람이 만든 계약은 변경될 수 없음을 언급한다. 이는 하나님의 약속도 마찬가지로 변하지 않으며, 그 약속에 따르는 신앙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16절에서는 약속이 아브라함과 그의 자손에게 주어진 것을 설명한다. 여기서 바울은 '자손'이라는 단어가 복수형이 아닌 단수형으로 사용되었음을 지적하며, 이는 그리스도에게 해당된다고 해석한다. 즉, 그리스도가 아브라함의 약속의 성취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17절에서는..

하나님의 말씀 2024.09.30

율법의 저주와. 한몸으로 막아내신 예수님

말씀의 현장 =갈라디아서 3장 10절부터 14절(24/09/27/금) 갈라디아서 3장 10절부터 14절은 사도 바울이 율법과 믿음의 관계에 대해 설명하는 부분입니다. 이 구절에서는 율법의 저주에서 벗어나기 위해 그리스도의 믿음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율법에 의존하는 사람은 저주를 받으며, 하나님 앞에서 율법으로 의롭게 될 수 없다고 강조한다. "의인은 믿음으로 살리라"는 구절은 믿음의 중요성을 나타내고, 율법은 믿음에서 나온 것이 아님을 설명한다.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율법의 저주에서 구속하셨고, 이를 통해 아브라함의 복이 이방인에게도 미치며, 믿음으로 약속된 성령을 받게 된다. 결국, 구원은 율법의 행위가 아닌 믿음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기독교의 핵심 교리를 강조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이 구절들은..

하나님의 말씀 2024.09.27

율법과 복음

말씀의 현장 =갈라디아서 3장 1절에서 9절(24/09/26/목) 갈라디아서 3장 1절에서는 초기 기독교 공동체 내에서의 믿음과 율법의 긴장 관계를 탐구하는 중요한 구절이다. 이 구절은 바울이 갈라디아 교인들에게 보내는 강력한 경고로 시작된다. 그는 그들을 '어리석은 갈라디아인들'이라 칭하며, 그들의 신앙이 어떻게 불완전한 이해에 의해 왜곡되었는지를 질책한다. 바울은 이들이 초기 신앙의 순수함을 상실하고, 율법의 의무를 통해 구원을 얻으려는 시도로 인해 진정한 복음을 왜곡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그리스도의 십자가에서의 희생과 성령의 임재를 통해 이미 받은 은혜의 기초를 상기시킴으로써, 그들이 어떻게 믿음으로 의롭게 되었는지를 강조한다. 그의 논리는 복잡하게 얽힌 법적 정의와 신학적 개념들이 얽혀 있으..

하나님의 말씀 2024.09.26

이신득의의 원리

말씀의 현장 =갈라디아서 2장15절-21절(24/09/25/수) 갈라디아서 2장 15절에서 21절은 바울이 유대인 신자들과 이방인 신자들 간의 긴장을 다루는 중요한 논의를 담고 있습니다. 이 구절은 구원과 율법의 관계, 믿음의 본질, 그리고 그리스도 안에서의 정체성에 대한 깊은 성찰을 제공합니다. 먼저, 바울은 자신을 유대인으로 소개하며, 유대인으로서의 전통과 정체성을 강조한다. 그러나 그는 동시에 이방인들과의 연합을 통해 모든 인류가 그리스도를 통해 구원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분명히 한다. 이러한 대조는 우리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기며, 인간의 구원은 율법의 행위가 아닌 믿음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주장을 더욱 확고히 한다. 바울은 이어서 그리스도를 믿음으로써 얻게 되는 새로운 삶을 언급한다. 그는 "내가 ..

하나님의 말씀 2024.09.25

베드로를 책망한 바울

말씀의 현장 =갈라디아서 2장 11절(2024/09/24/화) 갈라디아서 2장 11절에서 14절은 바울의 갈등을 드러내는 중요한 구절이다. 이 말씀에서 바울은 안디옥에서 베드로와의 대립을 통해 복음의 본질을 수호하려고 한다. 베드로는 이방인과의 교제를 피하며 유대인들의 압력에 굴복했다. 바울은 이러한 행동을 강하게 비판하며, 복음의 진리를 왜곡하는 행위로 간주했다. 그의 말은 단순한 교훈이 아니다. 복음의 자유와 평등을 강조하며, 모든 인간이 하나님 앞에서 동등하다는 점을 분명히 한다. 이는 그 당시 유대인과 이방인 간의 갈등을 넘어, 현대의 다양한 사회적 불평등에까지 여운을 남기는 메시지다. 바울의 강력한 어조와 용기 있는 행동은 그의 신념이 얼마나 깊었는지를 보여준다. 이 구절은 신앙의 진정성과 공동..

하나님의 말씀 2024.09.24

바울 사역에 대한 예루살렘. 교회의 인정

말씀의 현장 =갈라디아서 2장 1절에서 10절(2024/09/23/월) 갈라디아서 2장 1절에서 10절은 바울이 예루살렘에서의 경험을 설명하는 부분입니다. 바울은 14년 후 바나바와 디도를 데리고 다시 예루살렘으로 올라갔습니다. 그는 이방인들에게 전파하고 있는 복음을 확인받기 위해 사적으로 교회의 지도자들과 만났습니다. 그들의 복음이 다르게 해석될까 우려했기 때문입니다. 여기에서 이때 디도는 헬라인이었지만, 할례를 받지 않았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그러나 그가 할례를 받도록 강요받지 않았다는 점이 강조된다. 이는 바울이 전한 복음의 자유를 지키기 위한 것이었다. 바울은 거짓 형제들이 몰래 들어와 그들의 자유를 엿보며 종으로 만들고자 했음을 언급한다. 그는 그들에게 한순간도 굴복하지 않았으며, 복음의 ..

하나님의 말씀 2024.09.23

바울이 사도가 된 내력

말씀의 현장 =갈라디아서 1장 18절에서 24절(2024/09/20/금) 갈라디아서 1장 18절에서 24절에서는 사도 바울이 그의 사역과 복음의 출처에 대해 설명합니다. 그는 예수님과의 직접적인 만남 이후에 자신이 어떻게 복음을 전하게 되었는지를 강조합니다. 18절에서 바울은 예루살렘에 가서 사도들과 만나기 위해 3년이 지나서야 그곳으로 갔음을 시사한다. 이 시간 동안 그는 복음을 깊이 탐구하고 자신의 신앙을 확립하는 데 집중했다. 바울은 그렇게 한 이유가 사도들의 가르침을 직접 듣기 위해서가 아니라, 하나님으로부터 받은 계시를 더욱 확고히 하기 위함이었음을 복음하고있다. 19절에서는 바울이 예루살렘에서 만난 사도가 베드로 한 사람뿐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이는 그가 다른 사도들과의 관계보다는 자신의 사도..

하나님의 말씀 2024.09.20

잘못된 열심 방향을. 돌려주시는 주님의 은혜

말씀의 현장 =갈라디아서 1장 11절- 17절(2024/09/19/목) 갈라디아서 1장 11절에서 17절은 바울 사도의 복음의 진정성과 그가 어떻게 복음을 전파하게 되었는지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 구절에서 바울은 자신이 전한 복음이 사람에게서 온 것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왔음을 강조합니다. 그는 자신의 과거를 회상하며, 유대교의 열심으로 살던 시절에도 하나님의 뜻을 알지 못했음을 고백합니다. 바울은 자아 성찰을 통해, 자신의 변화가 단순한 인간의 노력이나 전통에 의한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직접적인 개입에 의해 이루어졌음을 깨닫는다. 그는 복음을 전하기 위해 예루살렘의 사도들과 즉시 만나지 않고, 아라비아로 갔던 사실을 언급한다. 이는 그가 독립적으로 하나님의 계시를 받았음을 나타낸다. 나의적용 ..

하나님의 말씀 2024.09.19

진리 싸움에서 저주까지

말씀의 현장 =갈라디아서 1장 1절에서 10절(2024/09/18/수) 갈라디아서 1장 1절에서 10절은 사도 바울의 서신 중에서도 특히 중요한 부분입니다. 이 구절은 바울이 갈라디아 교회에 보내는 경고와 교훈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1절에서 바울은 자신이 사람의 뜻이나 세상 권위에 의해 세워진 사도가 아님을 분명히 한다. 그는 '예수 그리스도와 함께 일으키신 하나님'의 뜻에 따라 사도로 부름을 받았다고 선언한다. 이는 그의 사도직의 정당성을 강조하고, 우리에게 그의 메시지를 신뢰할 수 있도록 한다. 2절에서 바울은 갈라디아의 모든 성도에게 인사하며, 그들과 함께하는 '모든 형제들'을 언급한다. 이는 그가 개인적인 관계를 중요시하며,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그들에게 다가가고자 함을 보여준다. 3절에서 바울은..

하나님의 말씀 2024.09.18

보아스와 룻의. 아들-오벳

말씀의 현장 =룻기 4장 13절부터 22절(2024/09/17/화) 룻기 4장 13절부터 22절까지의 내용은 룻과 보아스의 결혼과 그로 인해 태어난 오벳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이 구절은 이스라엘 역사에서 중요한 인물들이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보여줍니다. 18절에서 22절까지는 다윗 왕의 계보를 기록한다. 이는 이방 모압 여인인 룻이 낳은 아들이 이스라엘의 가장 훌륭한 왕 다윗의 조상이 되었음을 증거하는 것이다. 또한 이 기록은 후에 그리스도의 계보에도 그대로 적용되었다. 한 이방 여인 룻의 충성된 삶과 보아스의 경건성, 나오미가 겪은 고난의 경험과 지혜의 협력, 이 모든 것이 합하여 그리스도께서 이 땅에 출생하시는 길을 열었다. 13절에서 보아스는 룻을 아내로 맞이하게 되며, 하나님께서 그들에게 자녀를 주..

하나님의 말씀 2024.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