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매몰지 수질오염 원천차단 늦장 우려
경기도, 286개 취약 매몰지 직접 관리
경기도가 구제역 가축 매몰지에서 침출수 유출 등 2차 오염 우려가 커지자 침출수 직접 뽑아 구제역 매몰지 수질오염을 원천차단해 수질오염 우려되는 286개 매몰지를 직접 관리키로 했다.
수도권 시민 2,500만여 명의 식수원인 경기도 팔당 상수원 보호구역 인근 상류에 조성한 구제역 가축 매몰지에서 해빙기에 가축에게서 흘러나온 침출수가 상수원을 오염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팔당호 인근 구제역 매몰지에 대한 수질 오염 문제가 제기되는 가운데 경기도가 이 지역에 대한 수질관리에 경기도가 뒤늦게 대응에 나섰다.
도는 17일 도내 전체 매몰지 2,017곳 가운데 수질 오염 우려가 제기되는 팔당 특별대책지역 내 137개 구제역 매몰지와 하천에 인접한 149개 취약지역 매몰지를 집중 관리대상으로 정하고 2주에 한 번씩 매몰지 내에 생성된 침출수를 직접 뽑아 폐수처리 하겠다고 밝혔다.
도 관계자는 “팔당상수원의 오염을 우려하는 국민을 안심시키기 위한 특별 조치”라며 “매몰지 내 침출수 생성 속도를 고려해 2주에 한 번씩 뽑는 것이며 환경전문 관리업체가 286개 매몰지의 침출수를 직접 뽑아 수질오염을 원천 차단하겠다”고 말했다.
도는 현재 매몰지 침출수 가운데 6개 표본을 채취, 구제역 바이러스의 존재 여부를 국립수의과학검역원에 의뢰한 상태다. 침출수에서 구제역 바이러스가 발견되지 않으면 도는 즉시 침출수 뽑기에 나설 방침이다.
이밖에 도는 이 지역에 대한 관리 감독을 강화하기 위해 팔당 특별대책지역 내 137개 매몰지는 팔당 수질개선본부에서 하천과 인접한 취약지역 매몰지 149개는 환경국에서 책임지고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도에서는 현재 17개 가축분뇨 공공처리시설이 있으며 1일 2,580톤의 폐수처리능력을 갖추고 있다. 도는 17개 시설로도 처리가 힘들 경우 분뇨처리시설 35개소와 공공하수처리시설 292개소도 활용할 예정이다.
경기도는 매몰지 전체에 번호를 지정하고, 매몰지 1곳당 책임공무원을 지정하는 등 매몰지 관리에 책임성을 강화하는 한편 모든 처리과정을 전산 관리할 방침이다. 286개 매몰지는 도에서 집중적으로 관리하고 나머지 매몰지는 시군 직원들을 통해 같은 방법으로 관리하겠다.
한편 경기도는 2,000개가 넘는 매몰지의 체계적 관리를 위해 ‘가축 매몰지 사후관리 T/F팀’을 운영하는 한편 분기별로 시행했던 매몰지 인근 지하수 검사 시기를 침출수에 의한 오염이 의심되면 월 1회로 변경해 지속적인 수질관리에 나설 예정이라고 밝혔다.
출처=http://www.nwtv.kr/detail.php?number=55168&thread=22r12
'하나님의 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제1회 추경 14조6,320억 원 편성 (0) | 2011.02.23 |
---|---|
경기도 만혼화 현상 증가…저출산 심화 우려 (0) | 2011.02.21 |
경기도, 발행 부수 사전예고 거치지 않은 행태는 지탄받아! (0) | 2011.02.09 |
김문수 지사. "차별, 소외지역, 경기도엔 없다." (0) | 2010.11.18 |
경기도 김문수 지사, '철새 계약직' 논란 수위 높아! (0) | 2010.09.08 |